리눅스에서 사용자를 생성하는 것은 해당 시스템에서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관리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.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생성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를 수 있습니다:
1. **사용자 계정 생성**:
- `useradd` 명령을 사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사용자 "newuser"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:
sudo useradd newuser
2. **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생성**:
-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면 리눅스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. 홈 디렉토리는 사용자의 개인 공간이며 일반적으로 `/home/사용자이름` 경로에 있습니다.
3. **사용자 비밀번호 설정**:
- `passwd`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. 예를 들어:
sudo passwd newuser
- 비밀번호를 설정하려면 root 권한이 필요하므로 `sudo`를 사용하여 명령을 실행합니다.
4. **사용자 그룹 설정** (선택 사항):
-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려면 `usermod`나 `groupadd` 명령을 사용합니다.
5. **사용자 정보 설정** (선택 사항):
- 사용자 정보를 추가하려면 `usermod` 명령을 사용하거나 `/etc/passwd` 파일을 직접 편집합니다. 이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, 전화번호, 이메일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6. **사용자 권한 설정** (선택 사항):
- 사용자에게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대한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 부여하려면 `chmod` 및 `chown` 명령을 사용합니다.
7. **사용자 계정 활성화**:
- 사용자 계정을 활성화하려면 `/etc/shadow` 파일에서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 필드를 수정합니다. 보통 이 작업은 `passwd` 명령으로 수행됩니다.
8. **사용자 계정 삭제** (선택 사항):
-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려면 `userdel` 명령을 사용합니다.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및 관련 파일을 함께 삭제하려면 `-r` 옵션을 사용합니다.
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작업은 주로 관리자 권한을 필요로 하므로,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. 사용자 관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`useradd`, `usermod`, `passwd`, `userdel` 등의 명령어의 매뉴얼 페이지를 확인하시기를 권장합니다.
#리눅스.사용자생성
sudo useradd -m wasadm
sudo passwd wasadm
sudo userdel -r {userName}
-- 옵션 --
-m : 해당 유저의 폴더를 같이 생성
-g : 그룹 지정
-d : 디렉토리 지정
-s : 쉘(shell) 지정
-p : 패스워드(암호) 지정
# 그룹 추가하기
sudo groupadd {newGroupName}
# 그룹 생성 확인하기
grep project /etc/group
폴더 소유권 변경
sudo chown -R wasadm:wasadm /app/*
chown -R root:root /app/*
파일 실행권한 주기
sudo chmod -R 755 /app/*
sudo chmod -R 755 /skyhopes0328/*
'OS > Centos7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entos7] log 파일 삭제처리. (0) | 2023.09.27 |
---|---|
[Centos7] 자바8 설치 (0) | 2023.09.26 |
[Centos7] SSH 비밀번호 접속처리. (0) | 2023.09.26 |
[Centos7] 한 아이피(80포트) 당 동시접속 횟수 1회로 제한처리. (0) | 2023.09.26 |
vi 를 vim으로 alias 설정하기. (0) | 2023.09.26 |